오늘 종로에 간김에 시간이 남아 정독도서관에 다녀왔다.
[풍문여고 뒤]
도서관 올라가던 중 골목길에 아무도 없길래 그냥 찍어봤다.
[도서관 모습]
예전에 학교 건물이었다던데 내부는 딱 학교 모습.
[건물 앞 정원]
건물 바로 앞에는 정원이 있다.
봄에 오면 상당히 예쁠 것 같다.
[그냥...]
땅에 고여 있는 물 로우앵글로 찍기.
왠지 바다의 느낌이 날 것 같아서 찍어봤다.
[김옥균 집터]
도서관 부지 내에 김옥균 집터가 있다.
우리나라 개방을 위해 논의를 하던 장소.
요즘이라면 아이폰 도입을 위해 비밀리에 논의를 하는 장소라고 볼 수 있으려나?
[서울교육사료관]
하지만 정말 재미있었던 곳은 바로 여기였다.
참고로 이 건물이 예전 경기고등학교 건물이라고 한다.
(지금은 강남쪽에 있다.)
초엘리트들이 다니던 학교란 말인데....
[80, 90년대 교과서]
이....이것은!!
어디서 많이 보던 것들이 아닌가..
무려 초딩(국딩)시절에 배우던 교과서 아닌가!!!
[추억의 주번마크]
권력의 상징 주번 마크.
초등학교 다니던 시절 명찰 안 달고 등교하거나,
복도에서 뛰어다니는 애들 많이 잡았었지.
[뱃지]
서울에 있는 거의 모든 학교의 뱃지가 다 있을 듯.
우리 중,고등학교 뱃지가 없나하고 살펴보다 바보짓이었다는걸 깨달았다.
'여긴 서울교육사료관이지...'
[80년대 소풍의 모습]
시대별로 미니어쳐가 있었으나 역시 관심이 가는 것은 80년대.
이 때는 역시 수건돌리기가 대세였지.
요즘도 하려나?
참고로 산등성이에 있는 무덤도 포인트.
소풍가면 꼭 무덤이 하나씩 있었다.
무덤 밟으면 밤에 잘 때 무덤주인이 나타난다고 해서 서로 안 밟으려고 난리였었다.
사진으로 찍지는 않았으나 구한말부터(조선시대 약간이랑...) 90년대까지의 교육자료가 많이 있었다.
교과서나 생활기록부, 성적표, 교육지도자료 등등...
울산에 있는 쏜샘을 꼭 데리고 와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70, 80년대 교실모습 복원]
바닥이 삐걱거리는 것까지 복원되어 있었다.
솔직히 바닥꺼질줄 알고 무서웠다.
[교실에 이런 것들 붙어있었지...]
특히 제일 아래사진은 진정한 의미의 쌍팔년도 개그ㅎㅎ.
[교복의 이력서]
특별전으로 교복도 전시되어 있다.
이 역시 구한말부터 있었으나 그냥 패스.
가장 위부터 일제시대, 그 다음은 6,70년대, 그 다음은 현대.
남자 교복 이름표 보면 김명민, 강동원.....
이거 전시자가 아무래도 이 둘의 팬인 듯.
그리고 가장 마지막 교복은 무려 꽃보다 남자의 그 교복.
이런데서 전시자의 센스를 느끼게 된다.
참고로 남자교복은 옛날 것이 더 멋있는 것 같다.
[그래서 입어봤다...]
입어봐도 되는건지는 모르겠지만 입을 수 있게 꺼내져 있길래 입어봤다.
사람도 아무도 없었고.
맞춘 것처럼 내 몸에 완벽하게 딱 맞았다는....
(솔직히 그냥 입고 나오고 싶었다.)
이 교복을 보고 코드기어스를 떠올렸다면 당신은 오타쿠!!
사실 뭔가 코스프레를 하는 기분이기도 했다.
[각종 국민학생 필수품??]
관리하시는 분 한명밖에 없었는데 여자친구랑 셋이서 공기놀이라도 할껄 그랬나?
[기념]
참!잘했어요.
[커피나무]
삼청동길로 빠져나왔는데 카페가 굉장히 많이 생긴 것 같다.
몇년 전에 왔을 때는 별로 없었는데...
제일 특이했던 건 이 커피나무.
저 빨간열매를 으깨면 속에서 씨가 나오는데 그게 바로 원두이다.
그걸 볶으면 우리가 알고 있는 커피 원두가 된다.
[막짤]
청와대 올라가는 길.
올라갈 시간도 없었고, 괜히 검문 당할 것 같아 그냥 포기.
도서관 올라가던 중 골목길에 아무도 없길래 그냥 찍어봤다.
예전에 학교 건물이었다던데 내부는 딱 학교 모습.
건물 바로 앞에는 정원이 있다.
봄에 오면 상당히 예쁠 것 같다.
땅에 고여 있는 물 로우앵글로 찍기.
왠지 바다의 느낌이 날 것 같아서 찍어봤다.
도서관 부지 내에 김옥균 집터가 있다.
우리나라 개방을 위해 논의를 하던 장소.
요즘이라면 아이폰 도입을 위해 비밀리에 논의를 하는 장소라고 볼 수 있으려나?
하지만 정말 재미있었던 곳은 바로 여기였다.
참고로 이 건물이 예전 경기고등학교 건물이라고 한다.
(지금은 강남쪽에 있다.)
초엘리트들이 다니던 학교란 말인데....
이....이것은!!
어디서 많이 보던 것들이 아닌가..
무려 초딩(국딩)시절에 배우던 교과서 아닌가!!!
권력의 상징 주번 마크.
초등학교 다니던 시절 명찰 안 달고 등교하거나,
복도에서 뛰어다니는 애들 많이 잡았었지.
서울에 있는 거의 모든 학교의 뱃지가 다 있을 듯.
우리 중,고등학교 뱃지가 없나하고 살펴보다 바보짓이었다는걸 깨달았다.
'여긴 서울교육사료관이지...'
시대별로 미니어쳐가 있었으나 역시 관심이 가는 것은 80년대.
이 때는 역시 수건돌리기가 대세였지.
요즘도 하려나?
참고로 산등성이에 있는 무덤도 포인트.
소풍가면 꼭 무덤이 하나씩 있었다.
무덤 밟으면 밤에 잘 때 무덤주인이 나타난다고 해서 서로 안 밟으려고 난리였었다.
사진으로 찍지는 않았으나 구한말부터(조선시대 약간이랑...) 90년대까지의 교육자료가 많이 있었다.
교과서나 생활기록부, 성적표, 교육지도자료 등등...
울산에 있는 쏜샘을 꼭 데리고 와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바닥이 삐걱거리는 것까지 복원되어 있었다.
솔직히 바닥꺼질줄 알고 무서웠다.
특히 제일 아래사진은 진정한 의미의 쌍팔년도 개그ㅎㅎ.
특별전으로 교복도 전시되어 있다.
이 역시 구한말부터 있었으나 그냥 패스.
가장 위부터 일제시대, 그 다음은 6,70년대, 그 다음은 현대.
남자 교복 이름표 보면 김명민, 강동원.....
이거 전시자가 아무래도 이 둘의 팬인 듯.
그리고 가장 마지막 교복은 무려 꽃보다 남자의 그 교복.
이런데서 전시자의 센스를 느끼게 된다.
참고로 남자교복은 옛날 것이 더 멋있는 것 같다.
입어봐도 되는건지는 모르겠지만 입을 수 있게 꺼내져 있길래 입어봤다.
사람도 아무도 없었고.
맞춘 것처럼 내 몸에 완벽하게 딱 맞았다는....
(솔직히 그냥 입고 나오고 싶었다.)
이 교복을 보고 코드기어스를 떠올렸다면 당신은 오타쿠!!
사실 뭔가 코스프레를 하는 기분이기도 했다.
관리하시는 분 한명밖에 없었는데 여자친구랑 셋이서 공기놀이라도 할껄 그랬나?
참!잘했어요.
삼청동길로 빠져나왔는데 카페가 굉장히 많이 생긴 것 같다.
몇년 전에 왔을 때는 별로 없었는데...
제일 특이했던 건 이 커피나무.
저 빨간열매를 으깨면 속에서 씨가 나오는데 그게 바로 원두이다.
그걸 볶으면 우리가 알고 있는 커피 원두가 된다.
청와대 올라가는 길.
올라갈 시간도 없었고, 괜히 검문 당할 것 같아 그냥 포기.